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8-02 오전 07:30:55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경제 일반

영덕군,버려지는 대게껍질쓰레기를 키토산비료로

-영덕환경자원관리센터 내 대게껍질쓰레기 자원화시설 설치
김병화 기자 / kbh1199@hanmail.net입력 : 2014년 01월 29일
ⓒ CBN 뉴스
[김병화 기자]= 영덕군(군수 김병목)은 강구대게상가 내 대게먹거리관광객이 남기고간 대게껍질쓰레기를 자원화하기위하여 영덕환경자원관리센타내에 ‘대게껍질쓰레기 자원화시설’을 2014년 상반기에 설치하기로 하였다.



현재 강구면을 중심으로 한 대게 취급업소는 300여개에 달하고 있으며 이들업소에서 배출되는 대게껍질 쓰레기는 연간 600여톤에 달하고 있다.



특히 대게껍질은 매년 11월부터 익년도 5월까지 약 7개월동안 배출되고 있으며 현재는 전량 일반쓰레기로 매립처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영덕군은 지난해 하반기 경상북도로부터 전국최초의 대게껍질 자원화 특수시책사업으로 선정되어 사업비 4억원(도비 2억, 군비 2억)이 확보되어 사업에 들어가게 되었다.



ⓒ CBN 뉴스
사업은 영덕환경자원관리센터에 처리동(70㎡)과 분쇄시설을 구비하여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게껍질 건조후 5~7㎜ 크기의 분쇄작업을 거쳐 포장되어 키토산비료로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자원화시설 기계가동은 쓰레기소각시설에서 발생되어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해 전량 가동함으로써 탈수 및 건조시설 가동에 필요한 연료 이용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경유 등의 연료를 사용시 설치하여야 할 대기오염방지시설이 필요없다는 점이 장점으로 부각된다.



이와 더불어 향후 본격적으로 시설이 가동되면 자원재활용과 더불어 대게껍질쓰레기를 폐기물로 처리할때의 매립비용절감 과 매립시설 사용연한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까지 일석 삼조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영덕군에서는 생산되는 키토산비료는 지역농가에 전량 판매할 계획이며, 강구대게상가 이외의 대게껍질쓰레기 다량배출지역으로도 사업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병화 기자 / kbh1199@hanmail.net입력 : 2014년 01월 29일
- Copyrights ⓒ씨비엔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핫뉴스 >
칼럼 >
<유수빈변호사 칼럼> 36-성범죄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 어디까지 가능한가요?..
성범죄 피해자는 형사처벌 외에도 민사적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화재로부터 안전한 경주! APEC 성공의 첫걸음입니다˝..
2025년, 우리 경주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21개국 정상들.. 
경주시 황성동 유림지하차도 구조개선공사 ˝시민생명 안전보장 최우선으로 필연적인 선택이다˝..
지난 3월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생된 초대형 산불로 인한 큰 .. 
˝나이 들수록 자유로워지고 싶다˝..
나이가 들면 왜 고집이 세질까. 세월이 사람을 너그럽게 만들 .. 
“닫힌 문 하나가 생명을 살립니다 – 방화문 닫기! 지금부터 우리 모두의 습관입니다”..
“왜 문을 닫지 않았을까...”한겨울 이른 아침, 서울 도봉구의.. 
기획/특집 >
포토&동영상
기자수첩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21,085
오늘 방문자 수 : 21,533
총 방문자 수 : 85,095,781
상호: 씨비엔뉴스 / 주소: 경주시 초당길 143번길 19 102호 / 발행인.편집인.대표: 이재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영
mail: icbnnews@daum.net / Tel: 054-852-0693 / Fax : 02-6455-430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28 / 등록일 : 2012년 1월 20일
Copyright ⓒ 씨비엔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