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8-07 오전 05:58:3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생활문화 일반

경상북도, 지친 나를 깨우는 힐링 ˝`템플스테이`는 사찰에서 `소울스테이`는 성당에서˝

- 체험형 명품 테마관광상품으로 육성 -
이재영 기자 / icbnnews@dum.net입력 : 2017년 04월 23일
↑↑ 체험형_명품_테마관광상품_육성(템플스테이,_경주_골굴사)
ⓒ cbn뉴스
[이재영 기자]= 경상북도는 관광객으로부터 날로 인기를 더해가고 있는 ‘템플스테이 (Temple-Stay)’, ‘소울스테이(Soul-Stay)’사업의 프로그램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템플스테이’는 사찰에서, ‘소울스테이’는 성당과 피정의 집 등에서 바쁜 현대인들이 지친 일상을 벗어나 쉬어갈수 있는 체험형 테마관광상품 이다.

경북도에서 2007년부터 운영한 ‘템플스테이’는 도내 전통사찰에 머물면서 사찰의 일상생활과 한국 불교의 전통 문화․수행 정신을 체험하는 관광상품으로, 기림사(경주), 불국사(경주), 보경사(포항), 도리사(구미), 고운사(의성), 은해사(영천), 자비선사(성주), 장육사(영덕), 축서사(봉화), 용문사(예천) 등 10개 시․군 12개 사찰이 사업에 참여한다.

지난해 선무도를 체험할 수 있는 경주 골굴사 6천여명, 차와 명상을 체험할 수 있는 김천 직지사 6천여명 등 4만9천여명이 참여했다.

특히 외국인 참여자도 2013년 6,171명에서 2016년 8,717명으로 41.3% 증가해 경북 템플스테이가 신한류로 정착되고 있다. 참여를 원하는 관광객은 각 사찰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경북도에서 전국 최초로 2015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소울스테이’는 성당, 피정의 집 등에서 묵상, 봉사 등 수련프로그램과 걷기여행 등 가톨릭 신자가 아닌 일반인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한 테마상품으로, 갈평 피정의 집(포항), 한티 피정의 집(칠곡), 천부성당(울릉) 등 7개 시․군 14개소에서 운영된다.

지난해 천주교 한티성지에서 운영 중인 한티피정의 집 2만8천여명, 자원봉사가 주요프로그램인 성주 평화계곡피정의 집 1만여명 등 총 12만여명이 참여해 소울스테이가 힐링관광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참여를 원하는 관광객들은 천주교대구대교구 문화융성사업단(054-275-0610) 또는 각 참여기관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경상북도 ‘템플스테이’와 ‘소울스테이’의 인기비결은 경북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178곳의 전통사찰이 소재하고 있으며, 군위의 김수환 추기경의 생가, 칠곡군 한티성지 등 경북의 특화된 관광자원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 참여자들의 큰 호응을 얻은 것으로 평가된다.

서 원 경상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경북 템플스테이와 소울스테이가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며, “경북의 명품 체험관광상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홍보마케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재영 기자 / icbnnews@dum.net입력 : 2017년 04월 23일
- Copyrights ⓒ씨비엔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핫뉴스 >
칼럼 >
<유수빈변호사 칼럼> 36-성범죄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 어디까지 가능한가요?..
성범죄 피해자는 형사처벌 외에도 민사적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화재로부터 안전한 경주! APEC 성공의 첫걸음입니다˝..
2025년, 우리 경주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21개국 정상들.. 
경주시 황성동 유림지하차도 구조개선공사 ˝시민생명 안전보장 최우선으로 필연적인 선택이다˝..
지난 3월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생된 초대형 산불로 인한 큰 .. 
˝나이 들수록 자유로워지고 싶다˝..
나이가 들면 왜 고집이 세질까. 세월이 사람을 너그럽게 만들 .. 
“닫힌 문 하나가 생명을 살립니다 – 방화문 닫기! 지금부터 우리 모두의 습관입니다”..
“왜 문을 닫지 않았을까...”한겨울 이른 아침, 서울 도봉구의.. 
기획/특집 >
포토&동영상
기자수첩
방문자수
어제 방문자 수 : 14,754
오늘 방문자 수 : 7,600
총 방문자 수 : 85,186,555
상호: 씨비엔뉴스 / 주소: 경주시 초당길 143번길 19 102호 / 발행인.편집인.대표: 이재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영
mail: icbnnews@daum.net / Tel: 054-852-0693 / Fax : 02-6455-430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28 / 등록일 : 2012년 1월 20일
Copyright ⓒ 씨비엔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