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25 오전 10:16:37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사회일반

경상북도,엘니뇨 영향으로 겨울철 잦은 비 '농작물 병해' 우려

- 최근 잦은 비로 농작물 병해 발생 및 생육불량 우려, 철저한 농작물관리 당부 -
- 정확한 진단과 방제를 위해 농업기술원 작물보호연구실에서 방문·전화상담 가능 -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입력 : 2015년 11월 23일

↑↑ 동절기 병해충 무검은무늬병
ⓒ CBN 뉴스
[이재영 기자]=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최근 엘니뇨현상의 여파로 흐리고 비오는 날이 많아져 지금시기에 재배를 하는 농작물의 병해 발생과 생육불량이 우려돼 철저한 농작물 관리를 당부했다.

농업기술원 작물보호연구실에서는 최근 양파, 배추 등의 노지작물과 오이, 토마토 등의 시설작물에서 노균병, 검은무늬병 등 저온다습한 시기에 발생하는 병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방제시기를 놓칠 경우 큰 피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지금처럼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이 많아지면 부족한 햇빛으로 농작물이 연약하게 자라게 된다.

특히, 햇볕이 없어 하우스 내부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므로 환기도 어려워져 과습하게 되면 병해가 급속히 확산될 환경이 조성된다.

그러므로 지금 같은 시기에 농작물 재배는 상품성이 저하될 우려가 커지고 어느 때 보다 병에 잘 걸리게 되므로 평소보다 온도나 수분 관리를 철저히 해 생육을 안정화시켜야 한다.

또한, 약제를 주기적으로 살포해 병으로부터 단단히 예방해야 한다.

만약 철저히 병해관리를 했음에도 병이 확산될 때는 전문가의 진단을 거쳐 방제계획을 새로 수립하는 것이 좋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보호연구실에서는 농가에서 진단을 의뢰하면 정확한 병명과 방제방법을 처방해 준다며 농작물이 잘 못 자라고 자주 병에 걸리면 정확한 진단과 방제를 위해 신속히 연락하도록 당부했다.

※ 문의처 :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보호연구실 ☎ 053-320-0234

진단 의뢰하는 방법은 병에 걸린 식물을 직접 가져와서 진단을 받고 방제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는 것이 가장 좋으며 방문이 어려울 경우, 택배로 식물체를 보내 진단을 맡기는 것도 가능하다.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입력 : 2015년 11월 23일
- Copyrights ⓒ씨비엔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칼럼 >
<유수빈 변호사 칼럼> 30-징계 처분, 감경 사유는 분명 존재합니다..
징계는 징계사유가 인정된다고 해서 곧바로 ‘정직’,‘파면’이나 .. 
<유수빈 변호사 칼럼> 29-상간소송, 위자료는 어떻게 결정될까?..
배우자의 부정행위를 알게 되었을 때의 충격은 이루 말할 수 없습.. 
<유수빈 변호사 칼럼> 28-직장 내 괴롭힘과 성희롱! 더 이상 `참을 일`이 아닙니다!..
직장 내에서 상사의 무례한 말 한마디, 동료의 장난처럼 던진 농.. 
“APEC! 경주 발전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을까?”..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APEC, 경주 발전의 전환점이 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