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06 오후 03:53:0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경제 일반

안동시,금소마을 안동포 원료 대마(삼) 수확 열기로 가득

-농가소득원의 으뜸인 대마(삼) 수확 시작-
김종식 기자 / 0115054806@naver.com입력 : 2015년 06월 25일
↑↑ 금소마을의 안동포 원료 대마(삼) 수확
ⓒ CBN 뉴스
[김종식 기자]= 가뭄과 무더위 속에 안동포 주생산지인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일원에 대마(삼)수확이 한창이다. 지난 3월 말 파종해 약 3개월 동안 가뭄을 이겨낸 2m 이상 잘 자란 대마(삼)는 지난 23일부터 약 일주일 동안 더위를 피해 이른 새벽부터 재배농가의 手작업으로 전량 수확할 예정이다.

대마는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 숙련된 농부들에 의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전통방식에 따라 재배되고 있으며, 수확작업은 대마를 낫으로 한 번에 베어야 하는 재배농가의 경험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대마(삼)는 베고 찌는 작업이 안동포 만들기 전 과정 중에서 가장 힘든 작업으로 파종과 함께 많은 노동력이 필요한 작업이다.

대마를 원료로 한 안동포 제작은 경작과 수확→삼찌기→쪄낸 삼 말리기→껍질벗기기→겉껍질 훑어내기→계추리바래기(햇볕활용 표백)→삼 째기→삼 삼기→베 날기→베 매기→베 짜기→빨래→상 괴내기(색내기) 등 모든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작업 과정과 농촌지역의 노령화, 값싼 중국산 제품이 유입되면서 유통 및 판매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불과 10여년 전만해도 30㏊에 이르렀던 대마재배 면적이 올해 12농가 1㏊에도 못 미칠 만큼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안동포 재배농가는 명품 안동포 생산을 위해 기계화 사업을 추진하고, 대마(삼)를 원료로 하는 첨단 신소재 상품 개발과 3대문화권 사업으로 추진 중인 ‘전통빛타래 길쌈마을’ 조성사업이 마무리되면 안동포 전승과 함께 옛 명성을 되찾아 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종식 기자 / 0115054806@naver.com입력 : 2015년 06월 25일
- Copyrights ⓒ씨비엔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칼럼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APEC! 경주 발전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을까?”..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APEC, 경주 발전의 전환점이 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