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
최종편집:2025-07-13 오전 09:04:24 |
|
|
|
|
경상북도, 항공물류. 모빌리티 중심 ‘공항형 스마트도시’ 청사진 제시
- 스마트물류·에너지·R&D 특화 클러스터로 국가경제 신성장 거점 조성 -
- 공항경제권+스마트기술 융합, 경북형 미래도시 모델 구축 -
이재영 기자 / icbnnews@dum.net 입력 : 2025년 07월 13일
|  | | ↑↑ 공항형_스마트도시_조성_특화_전략_및_기본구상_용역__최종보고회 | ⓒ 씨비엔뉴스 | | [cbn뉴스=이재영 기자] 경상북도는 11일 김천 혁신도시 내 산학연유치지원센터에서 ‘공항형 스마트도시 조성 특화 전략 및 기본구상’용역의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대구경북신공항과 연계한 미래형 스마트도시 조성에 대한 종합적인 구상을 제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2030년 개항 예정인 대구경북신공항을 중심으로, 항공 물류·모빌리티·에너지·R&D 등 4대 핵심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고부가가치 산업생태계 조성과 미래 신성장 거점도시 조성에 대한 마스터플랜이 제시되었으며 스마트도시 공간을 총 5개 권역으로 나누고 다양한 스마트 기술 적용 계획을 제시했다. * 스마트 도시공간 5대 권역: ▴항공물류권역(Aero-Logistics) ▴글로벌 테크-허브 권역(Global Tech-Hub) ▴스마트 생활·서비스 권역(Smart Life & Service) ▴스마트 농식품 권역(Smart Agri-Food) ▴항공 혁신산업 권역(Aviation Innovation)
또한, 트라이포트(Tri-Port: 항공, 해상, 육상 물류망이 융합된 복합물류체계) 입지를 기반으로 물류 네트워크, 자동화, 첨단물류 플랫폼 등의 최적화를 통해 중남부 지역의 핵심 물류거점으로 어디든 ‘One-Day 배송이 가능한 최첨단 물류도시’로 특화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탄소제로(Carbon Zero) 친환경 에너지 발전과 분산형 에너지 저장, AI 기반의 에너지 관리 등을 통해 ‘자급자족 및 에너지 거래의 허브’로 특화하기 위한 기본구상을 제시했다.
경상북도는 이 구상을 통해 공항과 산업, 도시 기능이 융합된 전국 유일의 공항형 스마트도시 모델을 실현하고,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할 균형발전 전략의 선도 사례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지역산업과 연계한 청년 일자리 창출, 지역소멸 대응 전략도 병행 추진할 예정이다.
이남억 경북도 공항투자본부장은 “이번 청사진은 단순한 도시계획이 아닌, 대한민국 미래산업의 구조를 새롭게 설계하는 전략”이라며, “스마트도시 인프라 확충을 위해 단계별 실행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
이재영 기자 / icbnnews@dum.net  입력 : 2025년 07월 13일
- Copyrights ⓒ씨비엔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칼럼 >
기획/특집 >
기자수첩
|
방문자수
|
어제 방문자 수 : 27,687 |
오늘 방문자 수 : 14,243 |
총 방문자 수 : 84,666,747 |
|
상호: 씨비엔뉴스 / 주소: 경주시 초당길 143번길 19 102호 / 발행인.편집인.대표: 이재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영 mail: icbnnews@daum.net / Tel: 054-741-8866 / Fax : 02-6455-430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206 / 등록일 : 2012년 1월 20일 Copyright ⓒ 씨비엔뉴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