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잊혀졌던 참전유공자 2천여명 발굴·국가유공자 예우
-미등록 생존자 발굴, 등록신청 대행 등 원스톱 서비스 제공
-안동보훈지청 27명에 대해 국가유공자 등록 추진
-박근혜 정부「명예로운 보훈」, 「정부3.0」의 핵심 과제로 중점 추진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 입력 : 2014년 06월 11일
 |  | | | ⓒ CBN 뉴스 | | [이재영 기자]= 안동보훈지청(지청장 임규호)에서는 2014년 국가보훈처 국정과제「명예로운 보훈」의 핵심과제인 “6·25참전유공자 미등록자 발굴”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국가보훈처에서 정부주도 참전유공자 2,152명을 발굴하였으며, 안동보훈지청에서는 관내에 거주하는 참전유공자 27명을 직접 방문하여 그 중 27명에 대해 등록신청을 대행하였다.
참전유공자로 등록・결정이 되면 만 65세 이상 참전유공자 본인에게는 월 17만원의 참전명예수당과 보훈병원 의료비 60% 감면, 국립호국원 안장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이번에 발굴된 6‧25참전유공자 분들은 60년이 지났는데도 국가가 잊지 않고 직접 찾아와서 유공자로 등록할 수 있도록 도와준데 대해 한결같이 고마워하는 반응이다.
지난 52년간 국가유공자 등록은 본인의 신청에 의해서 이뤄졌다. 6·25전쟁 참전군인 90여 만명 중 47만 8천명이 등록하였고, 아직도 42만 2천명이 미등록 상태다.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참전유공자의 희생과 공헌이 헛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국가보훈처는 2014년 『명예로운 보훈』의 주요 사업으로 정부주도 국가유공자 발굴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정부가 직접 국가유공자로 등록 가능한 사람을 찾아 예우와 보상 할 수 있도록 근거(’13.4. 국가유공자법·국가보훈기본법 및 시행령 개정, ’13.7. 업무지침 제정)를 마련하였으며, 국방부 등 유관기관 설명회를 개최(’13.8.~11.)하고, 「국가유공자 발굴 기본계획」을 수립(’13.12.) 하였다.
보훈처는 전담조직(5명)을 신설(’14.1.)하였고, 국방부(각군본부)·병무청 등과의 협업체계를 통해 관련 병적자료를 수집·조사하고 있다.
미등록자 대부분은 6.25전쟁 참전 당시 주민등록번호가 없어 60여 년 전에 작성된 군 관련 자료에서 본적지를 찾아 제적부, 가족관계증명 등으로 신상과 소재를 파악하고 있어 발굴에 어려움이 있으나,
생존해 계신 분들을 위해 국가가 끝까지 국가유공자로 등록 될 수 있도록 발굴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미등록된 참전용사 분들 중 상당수는 이미 돌아가신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이 분들도 국가유공자로 등록하여 국립호국원에 이장또는 위패를 모시는 등 명예를 선양하고 예우할 계획이다.
국가보훈처에서는 2014년 정부3.0 맞춤형서비스 대표과제로 선정하고, 지속적인 정부주도 참전유공자 발굴 추진을 다짐하며, “6·25전쟁 기간 중 군 복무를 하였거나 무공훈장을 받은 사실이 있는데도 국가유공자로 등록하지 않은 분들을 알고 계실 경우 국가보훈처(대표전화 1577-0606) 또는 안동보훈지청(전화 820-9337)로 연락해 주기”를 당부했다.
|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  입력 : 2014년 06월 11일
- Copyrights ⓒ씨비엔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칼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