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농식품부 기초생활거점조성 공모사업 ‘백발백중’
-‘23년 기초생활거점조성 6개 지구 신청, 6개 지구 선정, 국비 168억원 확보 -
- 면 소재지 배후마을 기초생활서비스 공급거점 조성 등 -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 입력 : 2022년 07월 04일
|  | | ↑↑ )종합계획도_-_김천_대항면_기초생활거점사업 | ⓒ cbn뉴스 | | [cbn뉴스=이재영 기자] 경상북도는 농림축산식품부의 ‘23년 기초생활거점조성’ 공모에 선정된 전국 15개 지구* 중 전국 최다로 포항(동해면), 김천(대항면, 증산면), 영천(화남면), 경산(자인면), 성주(초전면) 등 5개 시군(6개 지구)이 신청해 모두 선정됐다고 밝혔다. * 전국 15개 지구 : 강원 1, 충남 1, 전북 1, 전남 1, 경북 6, 경남 4, 제주 1
기초생활거점 조성사업은 면 소재지와 배후마을에 대한 기초생활서비스 공급 거점을 조성해 생활서비스 제공과 역량강화로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를목적으로 한다.
이를통해 부족한 보건. 보육. 문화. 복지시설 등 중심지 기능 강화를 통해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이번에 선정된 6개 면 지역에는 내년부터 기본 및 시행계획 수립 절차를 거쳐 국비 168억원 등 총사업비 240억원을 5년간 연차적으로 투입될 계획이다.
민선 8기 출범과 함께 농촌협약(1900억원), 농촌공간정비사업(275억원) 및 기초생활거점조성(168억원) 공모사업 선정으로 농촌지역 주민들이 쉽게 체감하고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생활 SOC 시설 및 소프트웨어 사업에 지속적인 투자로 다양하고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 소외된 배후마을 생활서비스 공급·전달을 위하여 체계적인 AI·IOT*, 메타버스(가상공간)** 등 생활SOC 시설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으로 배후마을 주민들에게 미래형 생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지능형 AI·IOT 스피커를 활용한 양방향 소통 어르신 돌봄 서비스 제공 ** 가상공간을 통한 중심지와 배후마을 간의 소통 및 정보공유의 공간으로 활용
|  | | ⓒ cbn뉴스 | |
이철우 경북도지사는“민선 8기 출범에 맞춰 우리 도가 사업 기본계획 승인을 통해 지향하는 면단위 중심지부터 배후마을까지 미래형 농촌생활서비스(AI·IOT, 메타버스 등)를 통한 도민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경북형 농촌 조성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  입력 : 2022년 07월 04일
- Copyrights ⓒ씨비엔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칼럼 >
|